기관소개 |
⦁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 봉제산업의 1번지 종로구 창신동에 봉제역사관 이음피움 11일 개관 ⦁ 창신동은 봉제공장 밀집지역으로 봉제산업의 메카 ⦁ 봉제역사관은 봉제공장이 밀집한 창신동 골목 끝자락, 낙산성곽 인근 지하 1층~지상 4층(연면적 499.12㎡) 규모로 건립 ⦁ 건물 외벽의 가로줄무늬는 실이 돌돌 감긴 ‘실타래’와 석재를 층층이 쌓아 만든 ‘낙산성곽’을 형상화한 것으로 지역성을 살림 ⦁ ‘이음피움’이라는 이름은 실과 바늘이 천을 이어서 옷을 탄생시키듯 서로를 잇는다는 의미의 ‘이음’ 꽃이 피어나듯 소통과 공감이 피어난다는 뜻의 ‘피움’을 결합한 명칭 ⦁ 모든 시설은 ‘장애물 없는 생활환경(barrier-free)’ 디자인이 적용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어르신들도 불편함 없이 이용 가능 |
---|---|
주요프로그램 |
⦁ 봉제산업의 역사와 현재를 만나는 공간 ⦁ 이음피움은 가격경쟁력 하락과 고령화, 종사자수 감소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장인정신과 우수한 손재주로 활약 중인 봉제인들의 가치 재발견 ⦁ 산업화 시대 경제성장을 이끈 주역이자 서울 패션산업의 든든한 조력자인 봉제산업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기 위한 공간 ⦁ ‘서울형 도시재생’ 1호인 창신·숭인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의 거점시설 공공의 재정과 주민 참여로 조성해 더욱 의미 있는 공간 ⦁ 주요 공간 ▴봉제마스터 기념관 ▴봉제역사관 ▴단추가게 ▴봉제체험공간 ⦁ 3층 ‘봉제마스터 기념관’ - 30~40년 간 현직에 종사하며 자신만의 전문성을 구축한 봉제장인들을 ‘봉제마스터’로 선정 - 이들이 만든 제품과 현장 이야기를 전시하는 공간 - 봉제장인들의 가위도 전시되고, 실제 작업현장 사진과 인터뷰 영상 시청 가능 - 작년 말 공모를 통해 재봉·샘플·재단·패턴 분야의 ‘봉제마스터 10인’ 선정 - 반기별로 봉제마스터를 추가 선정해 다양한 장인들의 이야기와 작품을 전시해 나갈 계획 |
운영안내 |
⦁ 지하1층 : 벽면 계단을 활용한 전시공간, 계단식 쉼터, 봉제 체험공간 ⦁ 1층 : 봉제업 관련 영상· 서적 전시-봉제자료실 ⦁ 2층 : 기획전시실(패션 변천사, 첨단 무봉제 패션, 예술전 등 전시), 회의실 ⦁ 3층 : 디지털 봉제 아카이드(영상 미디어 전시), 야외 이벤트 공간 ⦁ 4층 : 야외 전망대, 바느질 카페 ⦁ 화~금요일(월, 공휴일 제외) 오전 10시 ~ 오후 6시 무료 관람 |
분류 | 컨텐츠명 | 노인 사고 다발지역 |
---|
잘생겼다서울 | 50+ 남부캠퍼스 | 서울특별시 복지정책실 인생이모작지원과 |
잘생겼다서울 | 경춘선숲길 |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공원조성과 |
잘생겼다서울 | 덕수궁돌담길 | 서울특별시 안전총괄실 안전총괄관 도로계획과 |
잘생겼다서울 | 돈의문박물관마을 | 서울특별시 도시공간개선단 도시공간개선반 |
잘생겼다서울 | 마포문화비축기지 | 서울특별시 공원녹지사업소 서부공원녹지사업소 |
잘생겼다서울 | 봉제역사관 이음피움 |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단 거점성장추진단 |
잘생겼다서울 | 새활용플라자 | 서울특별시 기후환경본부 자원순환과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|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바이오허브 |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거점성장추진단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시립과학관 | 서울특별시 서울시립과학관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식물원 |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서울식물원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창업허브 |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확관 투자창업과 |
잘생겼다서울 | 서울함공원 | 서울특별시 한강사업본부 한강관광사업과 |
잘생겼다서울 | 양재 R&CD 혁신 허브 | 서울특별시 경제정책실 경제일자리기획관 경제정책과 |
잘생겼다서울 | 여의도지하비밀(SEMA)벙커 | 서울특별시 안전총괄실 안전총괄관 안전총괄과 |
잘생겼다서울 | 장안평자동차산업종합정보센터 | 서울특별시 도시재실 도시활성화과 |
잘생겼다서울 | 하수도과학관 | 서울특별시 중랑물재생센터 관리과 하수도과학관 |